지난 7월 10일 서울시 양천구 신트리 공원에 무장애 실내 놀이터가 열렸습니다. “무장애 실내 놀이터”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실내에서 장애가 없이 자유롭게 놀 수 있는 곳입니다. 아름다운재단이 무장애 (통합) 놀이시설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 것은 19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2006년, 대웅제약과 함께 서울숲 무장애 놀이터 <거인의 나라>를 이어서 2008년 국회 어린이집 인근에 <애벌레의 꿈>을 조성했지요. 그 후 2016년 서울시 어린이대공원에 무장애 통합놀이터 <꿈틀꿈틀 놀이터>를 지었습니다. 이후 2호, 3호 무장애 놀이터를 만들기 위해 통합 실내외 놀이터 매뉴얼 제작 및 배포, 무장애 놀이키트 제작 등 다양한 활동을 꾸준히 해왔습니다. 그 사이 아이들은 실외 놀이터 보다 날씨와 기온에 상관없이 언제든 갈 수 있는 키즈카페에 익숙해졌고, 서울시는 공공형 실내 놀이터인 서울형 키즈카페를 짓기 시작했습니다.

2016년 오픈한 <꿈틀꿈틀 놀이터>

2016년 오픈한 <꿈틀꿈틀 놀이터>

2022년 개발한 무장애 놀이키트 ‘모두누리’

2022년 개발한 무장애 놀이키트 ‘모두누리’

그렇게 2023년 공공형 실내놀이터를 짓고자 하는 서울시와 무장애 놀이터를 더 알리고 만들고 싶은 아름다운재단, 부지와 운영예산을 가지고 있는 양천구가 만나 “무장애 실내 놀이터” 조성 업무 협약을 맺게 되었습니다.

시간은 꼬박꼬박 하루씩 지나가 2024년이 연말이 되었으나 놀이터 완공은 요원해 보였습니다. 빈 부지에 건물을 세우는 것은 생각보다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아 여름에는 폭우로 겨울에는 땅이 얼어 공사를 하지 못하는 날이 많았습니다. 그럼에도 우리가 짓는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자유롭게 노는 모습을 상상하며 다함께 힘을 합쳤습니다. 그러다 2025년 7월 10일 드디어 문을 열게 된 것입니다.

서울형 키즈카페 양천구 신트리공원점 외관

서울형 키즈카페 양천구 신트리공원점 외관

서울형 키즈카페 양천구 신트리공원점 조감도

서울형 키즈카페 양천구 신트리공원점 조감도

이렇게 문을 연 이번 놀이터의 정식 명칭은 ‘서울형 키즈카페 양천구 신트리공원점’입니다. 얼핏 봐서는 “그냥 키즈카페와 무엇이 다를까?”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알게 모르게 숨어 있는 것을 찾아 살펴보면 장애아동, 비장애 아동, 장애인 보호자까지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디테일이 숨어 있습니다.

턱이 없다!

동그란 원형으로 조성된 놀이터는 모험놀이존, 감각놀이존, 수유실, 화장실, 운영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을 모두 휠체어가 다닐 수 있도록 통로가 넓고 턱이 없으며 버튼식 자동문이 설치 되어 있습니다.

각 놀이존에는 공원으로 바로 나갈 수 있도록 주출입구와 부출입구를 2개씩 두어 비상시 대피까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집니다. 화장실도 장애인, 비장애인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용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장애물없는생활환경(Barrier Free, BF) 인증 기준에 맞추어 보호자도 함께 들어갈 수 있도록 내부가 넓고 손잡이나 등받이, 비상벨 등 필요한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수유실에도 휠체어를 사용하는 보호자도 수유나 기저귀 교환 등을 할 수 있도록 넓고 편리한 구조로 만들었습니다. 낮고 안락한 수유용 쇼파가 설치 되어 있어 보호자도 수유 중에 허리를 피고 잠시 쉴 수 있습니다.

다양한 놀이시설

아이들이 물리적으로 놀 수 있는 실내놀이터는 ‘감각놀이존’과 ‘모험놀이존’ 두 공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감각놀이존은 어린 아이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놀 수 있도록 언덕놀이대, 웨이브폴, 코지라운지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특히 정적인 공간에서 안락한 시간을 보내고 싶은 발달장애 어린이나 보행이 불편한 아이들도, 더 어린 연령대의 아이들도 놀이를 즐길 수 있게 세심하게 설계됐습니다. 모험놀이존은 활동적인 아이들을 위해 다양한 난이도의 오르기 놀이와 두 가지 높이의 미끄럼틀을 갖춘 타워놀이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두 공간은 모두가 자유롭게 오가며 자신의 취향과 체력에 맞게 놀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감각놀이존 전경

감각놀이존 전경

– 감각놀이존: 연령대가 좀 더 어린 아동이나 정적인 놀이를 좋아하는 아동을 위한 놀이터입니다. 언덕놀이대와 웨이브폴, 코지라운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언덕놀이대는 모든 연령대가 이용할 수 있도록 터널, 스텝 오르기, 줄 오르기, 아지트 등 쉬운 신체 놀이로 구성된 놀이시설입니다. 보행이 어려운 유아나 장애아동을 위해 핸드레일과 오르기 줄, 스텝의 너비와 간격 등 옮겨타기 시스템(Transfer System)을 적용했습니다. 안락하고 숨은 공간을 좋아하는 친구들을 위한 작은 아지트 공간에는 확 트인 창을 내어 공원을 바라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영유아나 발달장애 아동도,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양육자도, 서로 관찰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터널 통로 외에 오픈된 통로도 함께 만들어 두었습니다. 누구나 안심하고 신체 놀이를 즐길 수 있습니다.

웨이브폴은 쿠션과 폴대를 가지고 미로놀이 등 신체 놀이와 휴식을 함께 할 수 있는 놀이공간입니다. 쿠션을 이리 저리 옮길 수도 있고 폴대사이로 빠져나가며 미로놀이를 할 수 있습니다. 징검다리처럼 쿠션을 옮겨주며 다른 아이들과 협동놀이를 즐기는 사이 자연스럽게 장애아동이나 비장애아동이 함께 통합놀이로 이어지도록 유도해본 공간입니다. 신체가 큰 아이도 보조기구 사용 아동도 이용하기 쉽도록 활동공간과 유효폭 등 접근성을 고려해서 설계했습니다.

모험놀이존 전경

모험놀이존 전경

– 모험놀이존: 활동적인 놀이를 즐기는 어린이를 위하여 조금 더 어려운 난이도의 신체 놀이가 중심이 된 놀이공간입니다. 타워놀이대와 웨이브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타워놀이대는 다양한 놀이가 결합된 조합놀이대로서 휠체어 등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어린이가 옮겨타기 쉽도록 타워 출입구의 높이를 휠체어 높이에 맞추고 핸드레일을 설치하는 등 옮겨타기 플랫폼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타워 내부에는 나선으로 된 네트 오르기, 스텝 오르기, 수직 오르기 등 다양한 오르기 방식이 적용되어 있어, 아동의 신체 능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실내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경사로를 설치하기 어려운 점을 나선 네트 오르기로 보완했습니다. 휠체어를 사용하거나 보행이 불편한 어린이가 타워 상단까지 오를 수 있도록 나선 네트 오르기의 기울기와 너비, 네트의 간격과 탄성을 조정 하는 등 타워놀이대 안에는 아동의 신체 특성과 접근을 고려한 접근성 설계 요소들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또한 타워놀이대에는 2.4m와 1m의 두 가지 높이의 미끄럼틀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오르기 방식으로 타워 상단까지 올라갈 수 있고 높은 미끄럼틀도 타볼 수 있습니다. 미끄럼틀 출구와 바닥 사이의 높이 차이를 줄이고 휠체어에 옮겨 앉거나 보조기구를 착용할 수 있는 쿠션 플랫폼은, 움직임이 늦은 유아나 장애 아동이 도착지점에서 다른 어린이와 충돌 없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시간과 활동공간을 제공 해줍니다.

공간의 여백

작은 공간에 아주 다양한 놀이 시설을 많이 넣으면 공간 효율적인 면에서는 이롭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해당 놀이터는 건물이 작은 것에 비해 놀이 시설물이 없는 여유 공간이 넓습니다. 이는 아동 및 보호자의 휠체어 공간을 고려한 점도 있으나, 아이들 또한 자유롭게 뛰고 눕고, 창의적으로 놀 수 있는 빈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감각놀이존의 놀이 테이블과 쿠션들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필요시 이동시켜 빈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고안했습니다.

좌: 감각놀이존 / 우: 모험놀이존

좌: 감각놀이존 / 우: 모험놀이존

놀이터 개장 후 발달장애 아동이 놀러 온 적이 있습니다. 다른 아이들은 소리를 지르며 모험 놀이존에서 매달리고 미끄럼을 타는 반면 그 아이는 조용하게 감각놀이존 낮은 창으로 공원을 응시하며 누워 있었습니다. 아이가 미끄럼틀 같은 놀이시설만 좋아할 거란 생각, 장애아동은 휠체어를 탔을 것이라는 편견, ‘이것도 놀이시설인가?’라는 의문 등 무장애 실내 놀이터 의미를 되새기는 아이의 조용한 응시였습니다.

놀이터에서 노는 귀여운 어린이들

무장애 놀이터는 장애아동뿐 아니라 모든 어린이와 보호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통합놀이터나 무장애놀이터라는 말 때문에 장애 가족만을 위한 공간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은 연령과 신체조건, 발달 단계가 다양한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어울리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된 놀이터입니다. 아름다운재단은 놀이터에는 문턱도, 마음의 장벽도 없어야 한다는 믿음으로 누구나 자유롭게 뛰놀 수 있도록 무장애 실내 놀이터를 조성했습니다. 이 안전하고 즐거운 공간에서 쑥쑥 자랄 어린이들을 기다리겠습니다.

*서울형 키즈카페 양천구 신트리공원점 무장애 실내 놀이터 예약하기 (링크)

댓글 정책보기

댓글 쓰기